김호진 / Hojin Kim
- 아이겐코리아 개발실에서 리더로 근무 중
- E-mail:

- 관심 분야: 빅 데이터, 머신 러닝, 웹 과학,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
- 프로그래밍 언어 능력: Java, C#, PHP, (Visual) Basic, Visual Basic .NET, JavaScript, Perl, C, C++, Lua, Objective-C
- 언어 능력: 한국어, 영어, 일본어
학력
경력
- 2020년 03월 ~ 현재: 아이겐코리아 개발실에서 리더로 근무 중
- 2018년 09월 ~ 2020년 02월: 레코벨 추천사업본부에서 본부장으로 근무
- 2018년 05월 ~ 2018년 08월: 레코벨 추천사업본부 개발실에서 실장으로 근무
- 2015년 02월 ~ 2018년 05월: 레코벨 개발실에서 책임 연구원으로 근무
- 2013년 12월 ~ 2015년 01월: 루켓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
- 2011년 12월 ~ 2013년 11월: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이학처 컴퓨터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
- 2010년 12월 ~ 2011년 11월: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이학처 컴퓨터학과에서 교관으로 근무
- 2010년 06월 ~ 2010년 12월: 웹케시에서 연구원으로 근무
- 2009년 06월 ~ 2009년 12월: 쎄트렉아이에서 연구원으로 근무
- 2006년 08월 ~ 2006년 10월: 쎄트렉아이에서 연구원으로 근무
병역
- 2019년 07월 ~ 현재: 대한민국 해군 예비역 대위
- 2013년 12월 ~ 2019년 07월: 대한민국 해군 예비역 중위
- 2011년 12월 ~ 2013년 11월: 대한민국 해군 중위
- 2010년 12월 ~ 2011년 11월: 대한민국 해군 소위
출판
- 육해공군사관학교컴퓨터과학교수 (2013). 국방 소프트웨어로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, 양서각. [ISBN 9788955683691]
- 김호진, 서윤환, 황재룡 (2012). 해군사관학교의 강의시간표 자동 작성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,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 가을, 16(2), pp.945-947. [pdf]
- 서정석, 이승환, 김호진, 이기혁 (2009). 상황 인지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모니터링 및 수집 시스템의 디자인, HCI 2009 학술대회, pp.834-840. [pdf]
- Hojin Kim and Geehyuk Lee (2008). Korean EdgeWrite: A Korean Text Entry Method for a Joystick, Proceedings of Triangle Symposium on Advanced ICT 2008 (TriSAI 2008). Daejeon, Korea (October 6-9, 2008).
- Hojin Kim (2008). Korean EdgeWrite: A Korean Text Entry Method for a Joystick, 석사 학위 논문, KAIST. [pdf]
- Seunghwan Lee, Geehyuk Lee and Hojin Kim (2008). UbiGraphy: a Thrid-person Viewpoint Life Log. In Extended Abstracts of the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(CHI ’08). Florence, Italy (April 05-10, 2008). New York: ACM Press, pp.3531-3536. [pdf]
- Seunghwan Lee, Hojin Kim, Sumi Yun and Geehyuk Lee (2007). A Feasibility Study of Sixth Sense Computing Scenarios in a Wearable Community.,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-Computer Interaction (HCI International 2007). Beijing, China (July 22-27, 2007).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4551, Springer, pp.1155-1164. [pdf]
- 표세영, 김호진, 이기혁 (2006). FeelRing: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반지형 포인팅 장치의 디자인 및 평가,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2006년 12월, 2(4), pp.5-13. [pdf]
- 표세영, 김호진, 이기혁 (2006). FeelRing :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반지형 포인팅 장치의 개념적 구현, 2006 차세대컴퓨팅 컨퍼런스. [pdf]
- 김호진, 이기혁 (2006). ASK-HIM: 아날로그 스틱을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, HCI 2006 학술대회, pp.1056-1062. [pdf]
- Hojin Kim (2005). Analog Stick Hangeul Input Method, 학사 학위 논문, KAIST. [pdf]
강의
해군사관학교 교수
- 소프트웨어 공학 개론 [Spring 2012~2013 봄학기]
- 웹 프로그래밍 [2011~2013년 봄학기]
- 운영체제 [2013년 봄학기]
- 객체지향 프로그램 [2011~2012년 가을학기]
-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[2011년 가을학기]
- 프로그래밍 언어 [2011년 가을학기]
- 컴퓨터과학개론 [2011~2012년 봄학기, 2012년 가을학기]
KAIST 조교
- 소프트웨어 모델 [2009년 가을학기]
- 데이터 구조론 [2008년 가을학기]
-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[2006년, 2008년 여름학기]
- 프로그래밍 기초 I - Java [2004년 겨울학기, 2005년 봄학기, 2005년 여름학기, 2006년 봄학기]
- 프로그래밍 기초 II – C/C++ [2005년 가을학기]
- IT영재캠프,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[2005년~2006년 여름학기]
연구 경력
- 2019년 03월 ~ 2021년 12월: 중소·중견 가전사의 IoT가전 제품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상용화 플랫폼 기술 개발, 과제 책임자
- 2010년 06월 ~ 2010년 09월: 프로젝트 X, 웹케시
- 2009년 07월 ~ 2009년 12월: 웹기반 인공위성 사진 관리 시스템 개발, 쎄트렉아이
- 2008년 06월 ~ 2008년 12월: 휴대폰을 활용한 상황인식 자발적 상호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, 삼성전자
- 2007년 03월 ~ 2008년 02월: 상호운영성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식스 센스 컴퓨팅, KAIST
- 2006년 08월 ~ 2006년 10월: 인공위성 지상국 관리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, 쎄트렉아이
- 2006년 02월 ~ 2007년 01월: 카메라 기반 입력 장치에 대한 연구, 엠텍비전
- 2006년 03월 ~ 2007년 02월: 상호운영성 웨어러블 유비쿼터스 컴퓨터 개발, KAIST
- 2005년 05월 ~ 2005년 12월: 웨어러블 유비쿼서트 컴퓨터를 위한 포인팅 장치에 대한 연구, KAIST
학회 활동
- 2008년 10월: Triangle Symposium on Advanced ICT 2008 (TriSAI 2008) 학생 의장
자격증
언어시험 결과
특허 및 컴퓨터 프로그램 등록
- 특허 출원 10-2021-0163896, “빅데이터를 활용한 IoT 가전 기기의 고장 및 잔여수명 예측 시스템” (2021년 11월)
- 특허 출원 10-2019-0109065, “빅데이터 기반 IoT 가전기기의 고장 예측 시스템 및 방법” (2019년 9월)
- 특허 출원 10-2009-0065967, “3인칭 시점의 라이프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” (2007년 12월) [pdf]
- 컴퓨터 프로그램 C-2021-046380, “사물인터넷 기기의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쿼리 반복 및 조건문 생성기” (2021년 1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C-2020-043066, “사물인터넷 기기의 오류 예측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” (2020년 1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C-2020-043065, “사물인터넷 기기의 추천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” (2020년 1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C-2019-035242, “사물인터넷 행동 이력 수집을 위한 클라이언트” (2019년 1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C-2012-021872, “시간표 자동작성 시스템” (2012년 1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92, “3인칭 라이프로그 프로그램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9, “컬러 LED를 이용한 전등 색상 컨트롤러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8, “모니터에서 사진 선택 및 디스플레이로 전자액자 구현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7, “MIDI 메시지 생성을 통한 VJ 컨트롤러 조작 S/W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6, “3인칭 라이프로그 뷰어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5, “웹브라우저 사용 기록 라이프로그 S/W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8-000184, “멀티 플랫폼 3인칭 라이프로그 뷰어” (2008년 01월)
- 컴퓨터 프로그램 S-2006-008773, “Sixth Sense Computing” (2006년 12월)